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여행스케치/동물새

되새 되새는 겨울에 수백, 수천 마리가 무리 지어 이동하며, 너도밤나무가 많은 곳에서는 무리 지어 앉아있는다. 여름엔 곤충을 먹지만, 겨울에는 농작지에서 씨앗을 먹는다. 자외선에 민감하므로, 자외선 스펙트럼을 이용해서 둥지에 침범한 다른 새의 알을 구분할 수 있다. 더보기
박새 박새는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참새목 텃새이다. 주로 낙엽활엽수림에 살지만 도심 공원이나 건물 틈새, 지붕 밑 등 어디서나 잘 번식한다. 곤충 유충을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나뭇잎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쇠딱따구리가 만들어 놓은 둥지를 주로 이용한다. 인천대공원 수목원에서 24. 3. 27 더보기
쇠박새 쇠박새(marsh tit, 울음소리 (도움말·정보))는 박새과에 속하며 학명은 Poecile palustris이다. 몸길이 약 11cm로 머리꼭대기·턱밑·멱은 검고, 뺨은 희다. 부리는 굵고 튼튼하며, 암수가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렵다. 삼림과 정원 등지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떼를 지어 다닌다. 산란기는 4-5월이며, 7-8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흰색에 적갈색 반점이 있다. 알은 품은 지 13일이면 부화하고, 알에서 나온 새끼는 16-17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주로 곤충을 먹지만, 거미와 나무열매도 먹는다. 우리나라·일본·중국·유럽에 분포한다. ㆍ ㆍ ㆍ 인천대공원 수목원에서 24. 3. 27 더보기
곤줄박이 곤줄박이는 참새 정도의 크기로 주로 곤충을 먹지만,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는 씨앗을 먹거나 숨겨두었던 먹이를 꺼내 먹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사람을 피하지 않아 친근한 새로 알려져 있다. ㆍ ㆍ ㆍ 인천대공원 수목원에서 24. 3. 27 더보기
청딱따구리 청딱따구리는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의 한 종으로, 한국에서는 텃새이다. 몸 위가 연두색이고, 머리와 몸 아래는 아래는 회색을 띤다. 수컷은 이마가 붉은색이지만, 암컷은 머리와 같이 회색이다. 날개 끝에 갈색과 흰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부리 부분부터 눈까지 이어지는 검은 뺨선이 있다. 인천대공원 수목원에서 깽깽이풀 노루귀 할미꽃 얼레지와 놀다 나오는 길에 만난 청딱따구리 이쁘네요 구봉도에서 처음 만나고 이번이 두번째 만남 24. 3. 27 더보기
갈매기들의 여유로운 쉼의 시간 용현갯골유수지 갈매기들의 편안한 쉼터 한가롭게 쉼을 즐기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있는 갈매기무리 저기에도 저 무리를 끌어가는 대장이 있것지 어디든 사람이나 동물이나 새나 숨쉬고 사는 곳에는 무리를 이끌어가는 리더가 있어야 평화를 유지할수 있것지 ㆍ 이곳의 리더는 누굴까? 더보기
왜가리 왜가리는 한국의 왜가리과 조류 중에서 제일 큰 종이다. 흰색에 머리에는 검은 줄이 있고, 등 부분은 회색이다. 논, 하천, 해안 등에서 개구리, 물고기, 작은 포유류 및 뱀 등을 잡아먹는다. 농약과 공장폐수 등으로 오염된 먹이를 먹고 피해를 입어 점차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정부에선 백로와 함께 집단으로 번식하는 장소들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관곡지에서 24. 3. 15 더보기
대백로 관곡지에서 대백로는 황새목 왜가리과 중 가장 큰 종이다.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겨울새이다. 논, 개울, 하천 등 물가에서 쇠백로, 황로 등과 함께 섞여 수백 마리에서 수천 마리의 큰 무리를 이뤄 번식하기도 한다. 번식기가 아닐 때에는 주로 땅에서 생활한다. 24 93. 15 더보기

728x90
반응형